교육목표
한국어교육전공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교수하는 교육법에 대한 연구과정으로서, 외국인 및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사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이를 위해서 한국어의 언어학적·문법적 특성을 연구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한국어의 교육에 적용하고, 아울러 한국 문화 전반을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
특기사항
교과과정
한국어학 | 한국어학개론, 한국어음운론, 한국어문법론, 한국어어휘론, 한국어의미론, 한국어화용론, 한국어사, 한국어어문규범 등 |
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| 응용언어학, 언어학개론, 비교언어학, 사회언어학, 심리언어학, 외국어습득론 등 |
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| 한국어교육개론, 한국어교육과정론, 한국어평가론, 언어교수이론, 한국어표현교육법(말하기, 쓰기), 한국어발음교육론, 한국어문법교육론, 한국어어휘교육론, 한국어교재론, 한국문화교육론, 한국어한자교육론, 한국어교육정책론, 한국어번역론 등 |
한국문화 | 한국민속학, 한국의 전통문화, 전통문화현장실습, 한국문학의 이해 |
한국어 교육실습 | 현장 강의 실습 |
교과과정
EDKF | 01 | 한국어학개론(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) |
음운론, 형태론, 통사론, 의미론 등에 걸친 언어학의 기초적 내용을 토대로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 전반에 대해 개괄적으로 강의한다. | ||
EDKF | 02 | 언어학 개론(Introduction to General Linguistics) |
음운론, 형태론, 통사론, 의미론, 언어유형론 등, 일반언어학의 이론적 기초와 역사에 대해서 강의한다. | ||
EDKF | 03 | 한국어 음운론(Studies of Korean Phonology) |
음성학을 포함하여 음운론적인 기초 이론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한 한국어의 음운체계와 그 역사적 변화의 과정까지를 연구한다. | ||
EDKF | 04 | 한국어 문법론(Study of Korean Grammar) |
형태론적 단위인 형태소에서부터 문장의 구성에 이르기까지 한국어의 문법요소들의 운용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다. | ||
EDKF | 05 | 한국어 어휘론(Study of Korean Word) |
한국어 단어의 조어 방식과 비교언어학적 유입관계, 그리고 의미 특성과 그 쓰임새에 대해서 연구한다. | ||
EDKF | 06 | 한국어 의미론(Study of Korean Semantics) |
일반언어학의 차원에서, 언어의 의미구성의 원리를 학습하고, 어휘와 문장, 그리고 화용론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한국어의 의미특성에 대해서 연구한다. | ||
EDKF | 07 | 비교언어학(Seminar of Comparative Linguistics) |
언어의 유형, 인접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연구를 시행하며, 특히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와의 비교 연구에 대해서 그 방법론을 교수한다. | ||
EDKF | 08 | 심리언어학(Seminar of Psychological Linguistics) |
일반 인지적 과정과 언어의 상관성, 언어과정의 심리적 내용들에 대해서 연구한다. | ||
EDKF | 09 | 한국어교육개론(Introduction to Method of Teaching Korean Language) |
일반 외국어 교수법 전반에 대해서 학습하고, 한국어의 특성에 따른 교육학적 방법론에 대해서 연구한다. | ||
EDKF | 10 | 한국어 교육평가론(Seminar on Evaluation of Teaching Korean Language) |
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교육을 시행 받음으로 해서 발생한 효과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는 방안과 이를 다시 활용하여 한국어 교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. | ||
EDKF | 11 | 한국어 발음교육론(Seminar on Teaching of Korean Pronunciation) |
한국어의 조음음성학적 특성을 이해하고, 학습자의 해당 모국어와의 비교를 통해서, 한국어 발음 학습의 효과적임 방법을 탐구하고 이를 교수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구한다. | ||
EDKF | 12 | 한국어 문법교육론(Seminar on Teaching of Korean Grammar) |
형태-통사론에 걸친 한국어의 문법 특성을 이해하고, 이를 토대로 하여 학습자가 한국어 문법요소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한국어 구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한다. | ||
EDKF | 13 | 한국어 표현 교육법(Seminar on Teaching method of Korean Expression) |
한국어 표현법, 관용적 구성, 화용상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접근하여 파악하고, 이를 외국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다. | ||
EDKF | 14 | 한국어 어휘교육론(Seminar on Teaching of Korean Vocabulary) |
학습자의 단계별 교수 어휘를 설정하는 방안과 학습자에게 어휘론적인 내용을 쉽게 습득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. | ||
EDKF | 15 | 한국어 교재연구(Study on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Language) |
각종 한국어 학습 교재로 나온 서적을 대상으로 그 장단점을 고찰하고,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시행한다. | ||
EDKL | 16 | 한국어 번역론(Seminar on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) |
문자적으로 기록된 한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하거나, 외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데에 따르는 기술적인 내용을 연구한다. | ||
EDKF | 17 | 한국문학개론(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) |
고대문학에서 현대문학에 이르기 까지 한국의 문학예술에 대해 이를 개괄적으로 강의한다. | ||
EDKF | 18 | 한국 민속학(Study on Korean Folklore) |
한국의 민중에게 이어져오는 전통적인 외형적, 의식적 문화 내용에 대해서 강의한다. | ||
EDKF | 19 | 한국어 현장강의 실습(Practice Teaching Korean Language) |
일정한 교과목을 이수한 후 4학기에 시행하여 실제 한국어 교사로서의 현장 능력을 배양한다. | ||
EDKF | 20 | 한국어 교육 정책론(Stud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) |
한국어 교육을 위한 국가적인 정책 사안을 고찰하고, 한국어의 국제적 보급을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. | ||
EDKF | 21 | 한국어 교육 읽기와 쓰기 교육법(Methology for Teaching Korean Reading and Writing) |
한국어로 된 문자 생활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방법론을 연구하는 과목으로서, 독해 능력을 증진하고 이와 연계하여 작문 능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. | ||
EDKF | 22 | 해외 현장연구 (Field Study in Education) |
해외 교육기관 탐방 및 외국 학회, 세미나 참석을 통해 교육 연구와 실제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 교육에의 시사점을 찾는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