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목표
융합창의(인문사회. 수학, 과학, 발명, IT계열), 융합예술교육(예술계열) 전문가에게 필요한 이론 및 실무교육과 학습자의 숨겨진 재능을 찾고, 계발하기 위한 영재교육 이론 및 교수역량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둔다. 재학 시 융합창의, 융합예술교육 세부 특랙을 선택 이수하며, 국내외 대표 전문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실무역량을 키우고 졸업 시, 학위와 더불어 ‘창의융합교육사’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.
특기사항
주 5일제 수업, 주 40시간 근무제, 노령화 사회의 도래 등으로 인해 교육자에게는 변화하는 사회 속 다양한 유형의 학습자들(유아, 아동, 청소년, 직장인, 군인, 재소자, 가족, 노인, 지역주민, 다문화, 새터민 등)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효과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능력과 스킬이 매우 절실해졌다. 따라서 기존의 교과지식 및 기능, 교육 장소나 대상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, 학습자의 성장을 독려할 창의융합형 수업을 기획 및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이 매우 중요해졌다.
융합영재교육전공은 미래의 융합창의, 융합예술교육 전문가 양성의 일환으로 쉽고, 재미있게 학습자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자극하고 인성과 재능, 예술성과 전문성을 키워가기 위한 미래형 교수방법과 실무역량을 함양하는 전공이다.
교과과정
<교과목 개설 안내>
1. 학기별 전공 교과목은 해당학기 수요자 특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개설하며, 전공생들을
대상으로 매 학기 효과적인 학습설계 전략에 대한 전공 오리엔테이션 및 컨설팅이 이루어짐.
2. 수강신청 시 융합창의, 융합예술교육 세부 트랙으로 교과목을 선택 이수하게 됨.
3. 세부 트랙 중 ‘융합창의교육’전공(인문사회, 수학, 과학, 발명, IT계열)은 아래에 게시된 교과
목을 중심으로 선택 이수하게 되며, ‘융합예술교육’전공(예술계열)은 아래의 교과목 중 소수의
핵심교과목을 공통 이수하되, 수요조사에 기반 해 채택 새러하게 되는 문화예술교육관련 핵심
과목 및 분야별 예술 교수역량 교과목을 선택 이수하게 됨.
EDCG | 01 | 창의융합교육 이론과 실제(Theories and Application i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) |
창의융합교육의 개념(정의), 필요성 및 창의융합교육 관련 이론과 모형의 활용에 대한 전반적 내용을 다룬다. | ||
EDCG | 02 | 창의융합교육과정 및 프로그램(Curriculum & Program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) |
창의융합교육은 어떤 과정, 어떤 방법을 통해 실현할 수 있을까? 본 과목에서는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탐구하고 다양한 유형의 수업자료를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. | ||
EDCG | 03 | 창의융합교육 세미나(Seminar o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) |
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융합교육 관련 이슈가 되는 문제와 연구결과물 소개. 창의융합교육관련 다양한 가능성을 조사하고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새로운 교육 방향 모색한다. | ||
EDCG | 04 | 창의융합 교수방법 및 교수매체(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i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) |
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은 교육현장에서의 새롭고 놀라운 교수방법의 혁신을 일으켰다. 이에 기존의 다양한 교수방법 및 교수매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의 다양한 첨단 기자제(스마트폰, 각종 앱, VR, AR, NFC 등) 까지도 확장 활용해 창의융합교육을 쉽고도 유용하게 혁신적으로 시행하는 교수방법 및 교수매체에 관해 배우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실습하는 활동으로 구성된다. | ||
EDCG | 05 | 영재교육론 (Theories and Issues in Gifted Education) |
영재교육학의 입문과정으로 어떤 사람을 영재라고 하는지, 영재의 개념과 영재교육에 관한 일반적인 정의, 이론적· 역사적 배경을 논의한다. 영재교육은 왜 필요한지 그 필요성과 구체적 영재교육의 실현을 위한 영재교육과정 이론 및 모형에 대해서 배운다. | ||
EDCG | 06 | 창의성과 영재교육(Creativity and Gifted Education) |
미래사회에서의 창의성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. 또한 높은 성취를 이룬 인물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 창의성임을 고려할 때 모든 교육에 창의성이 근간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. 이에 본 과목에서는 창의성의 정의, 영재성과 창의성과의 관계, 다양한 창의성 판별방법, 창의성 교육에 관해 탐구한다. | ||
EDCG | 07 | 영재의 이해와 영재아 판별(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d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) |
영재들의 본질, 특성 및 욕구에 관한 지식을 주로 다룬다. 잠재적으로 우수하고 창의적인 아동을 판별하기 위한 다양한 검사 도구의 분석 및 연구로서 영재판별을 위한 다양한 평가 방법 및 절차 등을 토의, 연구한다. | ||
EDCG | 08 | 영재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(Curriculum &Program for Gifted Education) |
영재교육에서의 다양한 교육과정 모형들이 심도 있게 다루어진다. 속진 및 심화 교수법, 사사제, 외국의 여러 영재교육과정 모형과 실시방법 등을 구체적인 예와 함께 학습한다. 영재교육 모형과 교과목 간의 연계성 및 적용가능성, 평가 등이 다루어진다. | ||
EDCG | 09 | 영재상담 및 진로지도(Counseling Gifted Students) |
영재들은 그들의 높은 지적, 사회 정서적 욕구로 인하여 학교, 사회, 가정생활에 있어 일반 아동들에 비해 더 높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 또는 미래의 준비에 대한 구체적인 욕구를 갖고 있다. 이러한 영재 및 부모 상담과 진로지도를 위한 여러 가지 기술, 방법, 구체적 사례들이 다루어진다. | ||
EDCG | 10 | 영재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운영관리(Management of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grams) |
영재교육기관은 어떤 유형이 있으며, 구체적인 운영방법을 소개한다. 또한 일반교육기관과 다른 영재교육기관으로서 학습자들의 영재성을 잘 발현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. | ||
EDCG | 11 | 영재아 사회, 정서발달 (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Students) |
영재아의 사회, 정서발달과 관련한 이론 및 학문적 최신동향과 주요이론, 모형, 방법론에 관한 최근의 쟁점과 연구 과제를 분석하고 탐색적으로 고찰한다. |
EDCG | 12 | 예술영재 및 예술융합교육(Talented & Integrated Education in Arts) |
전통적인 예술교육이 해당 전공분야의 실기와 기능교육에 주력하는 것에 비해 예술영재 및 예술융합교육에서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다양한 예술분야의 협업 및 새로운 예술창작의 발현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 예술분야의 우수한 잠재력을 타고난 영재 및 예술을 융합한 창의적 교육의 방법과 사례 등을 배우고 연구하는 과목이다. | ||
EDCG | 13 | 예술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(Theory and Practice of Art Convergence Education) |
예술융합교육은 무엇인가? 왜 필요할까? 어떻게 교육해야하는지 이론과 함께 실질적인 사례를 배우고 다양한 실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과 가능성을 탐색한다. | ||
EDCG | 14 | 예술과 창의성(Gifted Educa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) |
예술, 문화의 개념, 예술교육은 왜 필요한가? 창의성은 무엇인가? 예술과 창의성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? 예술로 어떻게 창의성을 키울 수 있을까? 최근 학교나 기타 시설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예술교육 및 창의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예술로 창의성을 계발하는 다양한 전략과 방법을 배우고 연구한다. | ||
EDCG | 15 |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(Development of Ar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) |
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전문가를 멘토로 하여 예술융합프로그램의 개발 시 고려사항 및 다양한 현장분석 및 요구를 기반으로 예술융합교육의 실현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방법 및 전략에 대하여 학습하고 실습한다. | ||
EDCG | 16 | 예술융합교수법세미나(Seminar on Art Convergent Teaching Methods) |
세미나 형식을 통해 최근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예술융합교수법에 대해 리뷰하고 토의한다. 예술융합교수법의 이론과 실제, 그 가능성 등을 조사하고 한국 교육현장에 적합한 예술융합교수법의 방향성과 실천적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EDCG | 17 | 융합영재교육과 STEAM (STEAM and Convergent Gifted Education) |
융합형 인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융합형 영재(인재)의 정의, 판별, 교육과정에서 STEAM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내용이 실제에서의 사례와 함께 다양하게 다루어진다. | ||
EDCG | 18 | 과학영재교육(Gifted Education in Science) |
과학영역에서의 영재성의 정의, 판별도구, 교육과정 및 평가 등의 내용이 이론적 지식 그리고 실제 사례들을 전반적으로 다룬다. | ||
EDCG | 19 | 수학영재교육(Gifted Education in Mathematics) |
수학영역에서의 영재성의 정의, 판별도구, 교육과정 및 평가 등의 내용이 이론적 지식 그리고 실제 사례들을 전반적으로 다룬다. | ||
EDCG | 20 | 인문사회 및 언어영재교육 (Gifted Education in Social Science and Language) |
언어 및 사회 등 인문사회 영역에서 영재의 정의, 판별, 교육과정 및 평가 등의 내용이 실제에서의 사례와 함께 깊이 있게 다룬다. | ||
EDCG | 21 | 발명영재교육(Gifted Education in Invention) |
발명영역에서의 영재성의 정의, 판별도구, 교육과정 및 평가 등의 내용이 이론적 지식 그리고 실제 사례들을 전반적으로 다룬다. | ||
EDCG | 22 | IT 영재교육(Gifted Educa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) |
IT영역에서의 영재성의 정의, 판별도구, 교육과정 및 평가 등의 내용이 이론적 지식 그리고 실제 사례들을 전반적으로 다룬다. | ||
EDCG | 23 | 창의적인 교사의 자질과 역량계발(Developing teachers’ qualities & competence for creativity) |
창의융합교육 실현을 위한 교사로서의 자질과 핵심적인 역량을 진단하고 계발한다. | ||
EDCG | 24 | 영재교육실습(Practicum in Gifted Education) |
영재교육원 혹은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영재교육 전반의 이론을 종합적으로 적용, 실천하며 영재교사 및 시설장으로서의 능력을 계발한다. | ||
EDCG | 25 | 해외 영재교육 현장연구 (Field Study in Gifted Education) |
해외 영재교육기관 탐방 및 외국 영재학회, 세미나 참석을 통해 영재교육 연구와 실제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영재 교육에의 시사점을 찾는다. |